동록 교차로(Dong Loc Junction)는 랜드마크일 뿐만 아니라 베트남 국민의 애국심, 희생, 고양되는 정신의 영원한 상징이기도 하답니다. 호치민 노선에 위치한 하띤(Ha Tinh)성 깐록(Can Loc)현 동록(Dong Loc) 면의 동록(Dong Loc) 분기점은 한때 치열한 전쟁 기간 동안 미 공군의 중폭탄이 도시를 파괴하려고 했던 곳이었습니다. 북한의 주요 교통로. 그러나 수천 명의 젊은 자원봉사자, 군인, 국민의 피와 땀이 베트남 국민 모두의 마음속에 깊이 새겨진 감동적인 서사시를 만들어낸 곳이 바로 이곳입니다.
동록 분기점
동록 교차로의 배경
미국과의 전쟁 기간 동안 동록 분기점은 가장 치열한 전쟁터가 되었습니다.
특히 1968년 4월부터 10월까지 이곳은 온갖 종류의 폭탄이 5만 개에 가까운 피해를 입어 길은 온전한 땅이 단 한 치도 남지 않은 폭탄 분화구로 가득한 땅으로 변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젊은 군인, 젊은 여성 자원봉사자, 교통 노동자들은 여전히 밤낮으로 싸웠고다고 합니다.
폭탄 분화구를 평평하게 하고, 도로를 수리하고, 무기를 실은 트럭 호송대를 위한 길을 닦고, 남쪽으로 식량 지원을 지원했습니다.
그들은 정말 많은 일을 했지요.
그들은 위험을 두려워하지 않는 용감한 정신으로 혈관이 원활하게 돌아가도록 젊음을 희생하여 나라가 살아남을 수 있도록 일했습니다.
그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베트남이 있는 것이겠지요?
동록의 대표적인 이야기
여성 자원봉사자 이야기
동록 교차로와 관련된 가장 영웅적인 이야기 중 하나는 552중대 4소대 소속 젊은 여성 자원봉사자 10명의 희생입니다.
1968년 7월 24일, 폭탄 분화구를 채우고 파괴된 도로를 수리하는 임무를 수행하던 중 그들은 폭격을 당했습니다.
미국 항공기의 맹렬한 폭격. 막내가 17세에 불과한 소녀 10명이 근무 중 세상을 떠났고, 온 국민의 끝없는 슬픔과 깊은 존경을 남겼습니다.
Vo Thi Tan, Ho Thi Cuc, Nguyen Thi Nho 및 팀원들의 이름은 용기와 회복력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그 소녀들은 길을 위해 희생했을 뿐만 아니라, 조국을 향한 불굴의 의지와 사랑으로 온 민족에게 값진 유산을 남긴 것입니다.
동록 교차로의 상징성
동록 교차로(Dong Loc Junction)는 그때부터 신성한 상징이 되었습니다.
이곳은 전쟁의 땅일 뿐만 아니라, 베트남 사람들의 마음속에 새겨진 민족적 자부심과 추억의 땅이기도 하답니다.
매년 전국에서 수천 명의 사람들이 이곳에 모여 향을 피우고 쓰러진 이들을 기억하고 있다고 합니다.
승리 기념비부터 전사한 영웅들의 기념비와 10명의 젊은 자원 봉사 소녀의 무덤에 이르기까지 많은 추모 작품이 있는 동록 교차로 유적지는 모든 방문객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하는 신성한 장소랍니다.
이 유적은 치열한 전투를 기록한 장소일 뿐만 아니라 베트남 젊은이들의 낙관적이고 강인한 정신을 보여주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부조와 기념물에는 모두 조국을 보호하기 위해 끊임없이 불과 총탄 속에서 일어선 젊은 자원봉사자, 군인, 교통 노동자, 용감한 조국의 아들들의 이미지가 묘사되어 있었지요.
10명의 소녀들이 복무 중 자원봉사하는 모습은 조국을 위한 완전한 헌신의 빛나는 상징이 되었고 인민들의 마음속에 전설로 새겨졌습니다.

국가특별사적지 지정
수년이 지나도 Dong Loc 분기점은 여전히 역사적, 정신적 가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3년 이곳은 영웅적인 전투와 신성한 의미를 지닌 국가특별사적지로 지정되었습니다.
추모 작품은 과거를 기록할 뿐만 아니라 평화의 가치와 국가의 미래를 위한 베트남 국민의 귀중한 희생을 상기시킵니다.
동록사거리 승전비 타워 앞에 서면 고난과 영광으로 가득했던 시절을 떠올렸을 때 감동과 슬픔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언제나 꽃향기로 가득한 10명의 소녀들의 하얀 무덤은 산 이들의 감사와 무한한 존경의 증거지요.
동록삼거리(Dong Loc Junction)는 역사적인 장소일 뿐만 아니라 민족정신의 상징이 되었으며, 현재와 미래 세대가 기억과 감사의 마음으로 머리를 숙여야 할 곳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나라에도 독립을 위해 싸우신 분들이 계시지요. 나라를 지키기위해 희생하는 분들을 오래도록 기리고 싶습니다.